듀얼 모니터 설정 및 필수 단축키 활용법 – 생산성 2배 상승!

컴퓨터를 사용할때 데스크탑이든 노트북이든 모니터를 사용하는 갯수는 개인별로 다르다. 그런데 두 개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다가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왜냐하면 두대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해보면 생산성이 거의 두배로 올라가는 걸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 관련 통계에서 18 ~ 40% 정도의 생산성 향상을 이야기 한다. 개인적으로는 최대 두배의 상승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단, 듀얼모니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과 단축키 등을 숙지했을 경우에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에는 물리적인 환경(배치)과 소프트웨어적인 환경이 있다. 오늘은 후자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한다.

두 개의 모니터를 사용하게 되면 빈번하게 화면을 이동해야하는데, 이 경우 마우스를 이용한 화면 이동을 하고 있다면 정말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의외로 정말 이런 분들이 많고, 그래서 듀얼모니터 적응에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의 단축키는 쓰면 조금 편한 정도지만 듀얼모니터 설정과 화면 이동 단축키는 필수이다. 듀얼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무조건 써야한다. 한번 사용해보면 제가 왜 이렇게 이야기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듀얼모니터를 잘 쓰기 위한 몇가지 팁을 소개해 드릴까 한다.


환경설정 1 : 프로젝트 방식 변경

먼저 PC에 모니터를 추가하게 되면 바로 추가된 모니터에 아래 네가지 방식 중 하나로 화면이 나타난다. 일반적인 듀얼모니터 환경에서는 보통은 [확장] 을 이용하게 된다.

  • PC 화면만
  • 복제 : 프리젠테이션 용도로 종종 사용.
  • 확장 :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
  • 두 번째 화면만

듀얼모니터 프로젝트 방식을 바꾸는 방법은 간단하다. 단축키 Win + P [Win : 좌측 Ctrl 키 옆에 위치하며, 키보드에 따라서는 윈도우 마크로 표기]

Win 키를 누른 상태에서 P키를 누를 때 마다 다른 방식이 선택되며, 원하는 방식이 선택되어 있을때 손을 떼면 해당 프로젝션 방식이 적용되는 식이다. 일단 확장 방식을 선택 후 아래 과정을 진행하면 된다.


환경설정 2 : 모니터 위치 설정

모니터 연결을 했다면 다음으로 모니터 위치 를 설정해야 한다.

먼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나오는 메뉴 중, 디스플레이 설정을 클릭해서 이동한다.

나타나는 메뉴 중, 디스플레이 다시 정렬 메뉴에서 자신이 원하는 배치로 마우스 드래그를 해서 조정 하면 된다. **좌우 배치 **뿐만 아니라 상하 배치도 가능하다. 모니터의 구분이 되지 않으면 **식별 **버튼을 통해 **각각의 모니터 번호를 확인 **할 수 있다. 설정 후 모니터 사이를 마우스로 이동했을 때 자연스럽다면 정상적으로 배치를 한 것이다.


환경설정 3 : 주모니터 설정

모니터 위치 설정을 마쳤으면, 메인으로 사용할 모니터를 설정해야한다. 이 부분을 변경 안하고 불편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적용 유무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 반드시 적용하셔서 사용하시길 바란다.

위의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 하단의 **디스플레이 다시 정렬 **메뉴에서 마우스로 모니터를 선택한 후, 이 디스플레이를 주 모니터로 만들기를 체크하면 주모니터를 변경 가능하다.

정면에 두고 쓰는 모니터를 메인 모니터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 더 편하다. 최적의 배치는 설명이 조금 더 필요한데(위에서 이야기한 환경 중 하드웨어에 대한 부분), 의외로 어렵지 않다.

위와 같은 셋팅 정도만으로도 기능적으로는 필요한 부분은 거의 충족된다. 하지만 비용과 노력은 정말 얼마되지 않는다. 노트북 스탠드와 키보드 최저가 구성시 만원이하이다. 위의 사진과 같이 최저가 셋팅을 할 경우, 키보드만 저가형으로 가면 7,000원이 채 들지 않는다. 해당 내용은 추가 포스팅을 통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다.


환경설정 4 : 작업표시줄 설정

마지막 셋팅이다. 작업표시줄에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표시 위치 설정을 변경할텐데, 이 부분도 그대로 쓰기보다는 변경해서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편하다.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작업표시줄 설정 메뉴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다음 여러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작업 표시줄 단추 표시 위치 항목모든 작업 표시줄 에서 창이 열려 있는 작업 표시줄로 변경한다. 그러면 실제 프로그램이 열려 있는 작업표시줄에만 아이콘이 표시되므로 훨씬 직관적이다.


단축키

꽤나 길었던 설정이 마무리 되었다. **멀티 모니터 사용시 **알아야 할 필수 단축키는 사실상 하나이다.

  • 화면이동 : Shift + Win + 좌/우 화살표

화면을 선택하고 위의 단축키를 입력하면 화살표 방향으로 선택 화면이 한번에 이동한다.

단축키가 하나라 아쉽다면 아래 단축키까지만 추가로 기억하면 더 좋다.

  • 화면분할 및 이동 : Win + 상/하/좌/우 화살표
  • 화면을 선택하고 위 단축키를 입력하면 화살표 방향에 따라 화면이 상,하로 분할되거나 이동
  • 대형 모니터 화면 등에서 화면을 2분할로 사용하거나 할 때 유용

핵심정리

장담하건데 위에서 이야기한 듀얼모니터 셋팅을 마무리하고, 화면이동 단축키를 사용해보면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다. 예전의 방식으로는 절대 돌아갈 일은 없을 거라고 장담할 수 있다.

작은 설정 하나, 단축키 하나가 내가 인지하고 있지 못했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앞선 팁들보다는 조금 복잡할 수도 있지만, 듀얼 모니터를 사용 가능하다면 효과는 확실하다. 쉬운 방법으로 생산성을 올리고, 여러분의 시간을 확보하셨으면 한다.

  • 환경설정 1 : 프로젝트 방식 변경, Win + P – 듀얼 선택
  • 환경설정 2 : 모니터 위치 설정, 바탕화면 마우스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 화면배치
  • 환경설정 3 : 주모니터 설정, 디스플레이 설정 – 디스플레이 다시 정렬 – 이 디스플레이를 주 모니터로 만들기 – 체크
  • 환경설정 4 : 실행어플 표시방법 변경, 작업 표시줄 설정 – 여러 디스플레이 – 창이 열려 있는 작업 표시줄로 변경
  • 듀얼모니터 화면이동 : 단축키로 한번에 화면이동, Shift + Win + 좌/우 화살표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