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인터넷에서 찾은 실시간 정보를 보다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엑셀 웹 데이터 가져오기 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환율, 주가 등 다양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럴 때 가장 편하고 빠르게 이런 데이터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인터넷이다.
엑셀에서의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잘 활용하면 이런 웹상의 정보를 정말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고 항상 업데이트 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에서 찾은 실시간 정보를 엑셀에서 활용하는 웹 데이터 엑셀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필요한 정보가 있는 인터넷 페이지를 찾는 일이다.
여기서는 자주 사용하는 환율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네이버 달러 환율 페이지]
네이버 검색창에서 위와 같은 식으로 검색하면 달러/원화의 환율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필요한 데이터를 확인 후 주소창을 클릭 후 복사를 해주면 1단계 준비는 된 것이다.
위에서 확보한 웹 주소를 엑셀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결 작업이 필요하다. 주소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때 사용 가능한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사실상 같은 방법이다.
사실상 메뉴를 선택하는 경로만 다르고 같은 기능이므로, 메뉴를 통해 사용할 경우엔 좀 더 편한 두 번째 방법(데이터 – 웹)을 사용하길 추천한다.
하지만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을 자주 사용한다면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등록 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래의 항목을 가져와서 설정 후 사용하면 된다. 해당 기능에 대해 익숙하지 않다면 지난 포스팅을 참조하기 바란다
[엑셀 빠른실행도구모음 설정 방법 및 추천 셋팅 공유 (백업파일 제공)]
메뉴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에 위에서 복사한 웹 주소를 붙여 넣고 진행한다.
그 다음으로 뜨는 액세스 관련 창은 다른 추가 설정 없이 연결 버튼으로 다음 단계로 가면 된다.
그러면 연결한 주소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지 확인하고, 가져올 데이터를 선택하는 화면이 아래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좌측의 “HTML 테이블“의 테이블들을 선택해서 우측의 미리보기에서 가져올 데이터의 형태를 확인 후 아래의 로드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 로드 옆에 위치한 [데이터 변환] 기능을 통하면 가져올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기능의 경우 다루어야 하는 내용이 많아 차후 강의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그러면 바로 아래와 같은 형태로 웹에서 가져온 데이터가 엑셀 표 형식으로 나타난다.
위와 같은 형태로 인터넷에서 가져온 데이터 표의 정보는 데이터 – 쿼리 및 연결 – 모두 새로 고침 버튼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즉 주기적으로 실시간 정보를 확인해서 갱신해야 하는 정보가 있는 문서를 이렇게 구성할 경우, 거의 대부분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말이다.
위의 예시에서는 간단한 예를 들었지만 웹 주소에서 제공하는 데이터가 테이블 형태로 잘 정리되어 있기만 하다면, 한 번에 많은 정보를 가져오는 것도 손쉽게 가능하다.
아래와 같이 여러 국가의 환율 데이터가 잘 정리된 웹 페이지의 주소를 가져오는 걸로 한번 살펴보자. [네이버 증권 환율 페이지]
이런 식으로 가져올 수가 있다. 필요에 따른 웹 데이터를 잘 찾는 것이 문제일 뿐, 가져오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환율, 주가 정보 등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이 필요한 정보를 엑셀로 간편하게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실 데이터 가져오기 부분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데이터 관리 규칙 연재 후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질문을 해준 독자 분이 있었고 많은 분들이 필요하실 내용이라 먼저 다루어 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연재의 마지막 순서로 엑셀 조건부 서식 관리 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작성된 규칙의…
이번 포스팅은 YES24 콘서트 티켓 예매 관련 정보 모음입니다. 꽤나 오랜만에 YES24를 통해 콘서트 티켓…
엑셀의 강력한 기능, 조건부 서식의 데이터 막대, 색조, 아이콘 집합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분석하고 보고서…
이번 포스팅은 윈도우 11 Noto Sans KR 폰트 기본 적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2025년 3월말에 배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