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셀서식에서 표시형식에 사용되는 기호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지금부터 진행되는 내용을 잘 이해하면 서식에 대해서는 거의 마스터했다고 봐도 괜찮다. 이제부터는 필요한 활용법만 그때그때 찾아서 활용하면 될 정도의 이해력을 갖추게 될 것이다.
Excel 셀의 표시형식이란?
Excel에서 모든 셀은 고유한 표시형식을 가진다. 셀 서식 > 표시형식 > 사용자 지정으로 이동하면 선택한 셀의 표시형식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형식 기호란 이러한 셀의 표시형식을 원하는 형태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칙이다. 즉, 이 기호들을 이해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값(데이터)을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다.
표시형식 기호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값의 형태를 지정: 숫자, 텍스트 (이번 포스팅)
- 단위, 표시 형식 지정 (이번 포스팅)
- 기호 추가
- 조건, 색상 추가

그럼 지금부터 각 그룹별로 자세히 살펴보자.
표시형식 기호 1 – 값의 형태를 지정

엑셀의 값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숫자와 텍스트.
표시형식의 첫 번째 그룹은 이러한 값의 형태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0
,#
,?
는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되고,@
는 텍스트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0
,#
,?
를 여러 개 사용할 경우 자리수를 의미한다.- 세 기호의 차이는 0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있다:
0
: 필요 없어도 0을 표시#
: 필요 없으면 생략?
: 필요 없으면 공백으로 표현
조금 어렵게 느껴진다면 예시를 보자. 위의 설명을 가지고 아래의 내용을 본다면 조금은 이해가 쉬우실 것 이다.

※ ?
기호의 표시 예는 여백을 보여주기 위해 좌측 정렬로 설정했다. 즉, 0
, #
, ?
기호 모두 숫자를 표현하는데, 불필요한 0에 대한 표현 여부와 방식만 다르다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숫자를 표현할 때 제일 많이 쓰는 형식은 아마 아래 형식일 거다. #,##0
위 내용을 이해하고 나면 이렇게 보일 것이다. → “천, 백, 일 단위의 숫자를 표시할 때 불필요한 0은 표현하지 말고, 일 단위가 0이라면 그래도 보여줘” 라는 의미로 말이다.
텍스트 서식은 셀 형식이 텍스트라는 걸 의미한다. 이 부분은 뒷부분에서 더 다루니까 여기선 가볍게 넘어가자.
표시형식 기호 2 – 단위, 표시형식 지정

표시형식의 두 번째 그룹은 숫자에 대한 표시 형식, 단위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그룹은 텍스트(@)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항목 중에는 활용도 높은 것들이 몇 가지 있다. 하나씩 살펴보자.

- 기호
.
: 소수점 단위를 표현해준다.- 예를 들어
0.000
이 서식일 경우:- 첫 번째
0
은 상수에 해당하는 숫자값을 표시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
은 소수점 단위를 의미, 뒤의000
은 소수점 뒤 숫자값을 3자리까지 표시하되, 0이더라도 표시해 달라는 의미다.- 그래서 표시예의
0.11
이 이 서식을 통해 표현되면0.110
이 되는 거다. (셋째 자리 숫자가 없어도 0을 표시)
- 첫 번째
- 예를 들어
- 기호
,
: 천단위 구분 또는 천단위 절삭을 표현한다.- 숫자 단위의 중간에서 사용될 경우 천단위 구분을 의미한다.
- 원본: 10000 / 서식:
#,##0
/ 표시:10,000
- 원본: 10000 / 서식:
- 숫자 단위의 끝에서 사용될 경우엔 천단위 절삭을 의미한다.
- 원본: 10000 / 서식:
###0,
/ 표시:10
- 원본: 10000 / 서식:
- 중복 사용 가능하다.
- 즉
,,
이런 식으로 중복 사용이 가능하고 기호 하나에 천단위씩 절삭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 원본: 10000000 / 서식:
###0,,
/ 표시:10
- 즉
- 숫자 단위의 중간에서 사용될 경우 천단위 구분을 의미한다.
- 기호
%
: 표시 단위를 퍼센트(%)로 바꿔준다.- 1은 100%가 된다.
- 원본: 0.1 / 서식:
0%
/ 표시:10%
- 기호
/
: 소수점 이하를 분수로 바꿔주는 서식 설정에 이용된다.- 서식 구성은 약간 특이한 형태로
# ?/?
나0 #/#
같은 방식이다.- 즉 일단위까지의 [숫자서식 + 공백 + 숫자서식/숫자서식] 형태다.
- 엑셀에서 분수 입력은 자주 있진 않지만 한 번씩 필요할 때 아래 팁이 유용하다.
- 입력 시 위 서식처럼
[숫자 + 공백 + 숫자/숫자]
형태로 입력하면 분수 형태로 입력된다.
- 입력 시 위 서식처럼
- 서식 구성은 약간 특이한 형태로
핵심 정리

오늘은 여기까지 진행하겠다. 꽤 길어졌다. 아직 100% 이해가 되지 않은 사람들도 있을 거다. 하지만 괜찮다. 어느 정도 이해한 다음 뒤에서 진행할 활용 예를 통해 추가로 감을 잡으면 된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표시형식 기호 3, 4 그룹에 대해 진행할 예정이다. 오늘도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마무리한다.
- 그룹1 –
0
,#
,?
▶ 값의 형태를 지정 – 숫자, 텍스트0
,#
,?
은 숫자로 표현되는 값,@
는 텍스트- 하나만 사용될 경우 숫자 전체, 여러 개면 자리수 의미
- 차이는 불필요한 0을 어떻게 처리하느냐
- 그룹2 –
.
,,
,%
,/
,_
▶ 단위, 표시 형식 지정.
: 소수점 단위,
: 천단위 구분 또는 절삭, 중복 가능%
: 퍼센트로 표시/
: 분수로 표시 (서식 구성: 숫자 공백 숫자/숫자)_
: 숫자서식 앞에 사용되어 입력된 만큼 공백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