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노트북 사용자라면 누구에게나 추천하는 아이템인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 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존재 자체를 모르거나 평소엔 거의 신경 쓰지 않다가 실제로 사용해보면 정말 생활에 유용한 아이템들이 종종 있다.
오늘 이야기할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 도 그런 아이템이다.
요즘 직장인이라면 데스크탑 보다는 노트북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노트북을 책상에서 고정해두고 사용하는 시간이 긴 경우라면 지난번 이야기했던 방식으로 업무 환경을 구성하면 꽤나 쾌적하게 업무를 볼 수 있다.
[효율적인 듀얼 모니터 환경 구축: 생산성과 건강을 동시에 잡는 방법]
하지만 출장, 회의 등이 잦아서 노트북만 사용하는 경우엔 위에서 이야기한 거치식 환경구성은 어렵다. 하지만 어디에든 좀 더 생활을 업그레이드 해줄 수 있는 아이템은 있다. 이런 노트북만을 사용할 경우에 사용 편의성을 대폭 올려주는 아이템이 오늘 이야기할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다.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는 노트북 하단에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접을 수 있는 형식의 스탠드를 양면 스티커로 부착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간단한 아이템이지만 실제 사용해보면 있고 없고의 차이가 꽤 크다.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를 사용하면 노트북 모니터의 높이가 어느 정도 높아지게 된다.
휴대폰이나 노트북을 사용할 때 피로도를 올리는 가장 큰 이유가 목을 숙이고 화면을 쳐다보는 자세 때문인데, 이 부분을 상당 부분 해결해 준다. 특히 거북목이나 자세로 인한 피로가 심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그 효과가 더 클 것이다.
거기다 노트북 하판 키보드가 바닥과 어느 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형태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노트북 타이핑 편의성이 상당히 증가한다. 실제로 사용을 해보면 위 두 가지의 장점이 정말 크다. 꼭 한번 실제로 느껴보시길 바란다.
부착식 노트북 스탠드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노트북 하판이 바닥에서 어느 정도 이격이 되는 구조가 된다.
별것 아닌 것으로 보일 수도 있는데, 이게 노트북 쿨링에 상당한 효율 상승 효과를 준다.
노트북의 구조와 쿨링 성능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이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보통 50% 이상의 쿨링 효과 상승이 있다고 한다.
다들 알고 있겠지만 노트북은 좁은 공간 안에 여러 가지 부품을 빽빽하게 넣어놓았기 때문에 열과의 사투를 벌이는 전자제품 중 하나다.
쿨링 성능의 상승은 노트북이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줘서 노트북 성능 향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가져오는 효과에 비해 설치와 사용은 정말 간단하다.
적당한 부착식 스탠드를 구입하고 노트북의 힌지 부와 가깝게 부착만 하면 끝이다. 사용할 때만 펴면 되고 필요 없을 땐 접으면 그만이다.
노트북에 따라 하판의 쿨링을 위해 뚫려 있는 부분을 약간 가리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크게 상관없다. 위에서 이야기한 대로 사용 시 쿨링 효과 상승이 있어서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다.
내 경우 레노버 P1에 사용 시 위와 같이 약간 간섭이 있는데, 그래도 바닥과의 이격 효과로 사용 시 온도는 부착 전보다 훨씬 낮다.
가격도 굉장히 저렴한 편이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 3000~4000원이면 알루미늄으로 된 튼튼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베이스어스의 알루미늄 재질로 된 4000원가량의 스탠드를 추천한다. 만듦새도 튼튼하고 2단계로 높이도 선택 가능하다. (알리 천원마트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거기다 한번 설치하면 거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노트북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가 아닌 어떤 것이 되었든 사용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모르고 있었다면 틀림없이 도움이 될 노트북 부착식 스탠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아이템은 개인별 취향 등을 타지 않는다. 그냥 무조건 사용하는 게 더 좋다. 꼭 한번 사용해 보셨으면 한다. 여러분의 일상생활을 조금은 더 편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최소한의 투자로 업무 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USB-C 허브에 대해 다룹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노트북과 모니터를 함께 사용하면서도 그냥 노트북을 책상 정면에 두고 모니터를 측면에 두고 사용하곤…
인터넷 웹 페이지의 실시간 환율, 주가 등의 정보를 엑셀로 간편하게 가져오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데이터 메뉴…